MAGICPIE

  • 태그

servletmodule 1

Google Guice는 언제 쓸까

회사에서 내가 주로 맡고 있는 시스템이 Kotlin으로 만든 웹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인데 Google Guic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제까지 굳이 다 파악할 필요가 없어서 읽지 않았는데 컨테이너화를 하려고 보니 알아야겠어서 이것저것 찾아봤다. 먼저, Google이 DI용으로 만든 프레임워크다. 주스라고 읽는다. 2007년인가에 만들어진 꽤 오래된 프레임워크다. DI가 무엇이냐 하면 Dependency Injection이라 해서 의존관계를 줄여주는 소프트웨어 패턴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구현은 Client가 Service에게 의존하고 있다. 내부에서 초기화하기 때문에 Service의 변화에 맞춰 Client를 수정해야 할 것이다. class Service: def do(self) -> Non..

기타 메모 2023.09.15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MAGICPIE

비전공자가 정보영역 대학원에 들어와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개설한 블로그. 정보전달이 절대 목적이 아닌 필기용 블로그임에 주의.

  • 분류 전체보기 (85)
    • AWS 노트 (31)
    • 파이썬3 노트 (24)
    • 기술서 읽고 정리 (6)
    • command line 노트 (7)
    • 논문 읽고 정리 (0)
    • Medium 노트 (3)
    • 기타 메모 (13)
    • github 소스 읽고 정리 (1)

Tag

파이썬3 공부, URI, numpy basics, AWS Lambda, github, TypeScript, AWSLambda실행기, git with command, numpy 쓰면 안되는 문제, github소스읽기, AWS ECR, servletmodule, Web API, git, AWS설명서, AWS IAM 정책 역할, AWS Elastic Container Registry, AWS CDK 에러, 이미 push한 commit 고치기, docker,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 檸檬: 본캐(유학/여행/취업)

티스토리툴바